본문 바로가기

스터디메모

생산자물가지수란?

728x90

생산자물가지수란 기업간의 대량거래에서 형성되는 모든 상품의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해 작성되는 것으로, 이 지수의 편제에 사용되는 가격은 제1차 거래단계의 가격을 대상으로 해. 즉 국내생산품의 경우는 생산자 판매가격을, 수입품의 경우는 수입업자 판매가격을 원칙으로 하고, 이것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다음 거래단계인 대량도매상 또는 중간도매상의 판매가격을 이용하는거지.

그 대상범위가 광범위해 일반적인 물가수준의 변동을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상품의 전반적인 수급동향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 일반목적지수라고 해.

소비자물가지수, 농촌물가지수 등과 같은 특수목적지수에 비해 그 포괄범위가 넓기 때문에 국민경제의 물가수준 측정에 가장 대표성이 큰 물가지수야. 이 조사는 1910년부터 실시되었으며, 1955년 이후에는 가중치를 도입해 매 5년마다 가중치를 개편하고 있는 중이야.

생산자물가지수는 상품 및 서비스의 수급동향 파악과 경기동향 판단지표, GDP디플레이터 등으로 이용되지.

지수작성에 이용되는 가격은 기초가격(basic prices)을 원칙으로 하고 있고, 기초가격은 생산자가 실질적으로 수취하는 가격으로서 판매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세, 담배소비세, 부가가치세 등 각종 세금은 포함되지 않으며 생산과정에서 수취한 생산물 보조금을 합산한 가격이야

[출처: 매일경제, 네이버 지식백과]

728x90

'스터디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란?  (0) 2023.07.11
아나코노미(Anaconomy)란?  (0) 2023.07.11
나눔의 경제란?  (0) 2023.07.10
종합부동산세란?  (0) 2023.07.09
가상화폐란?  (1) 2023.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