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담보대출비율(LTV) [loan to value ratio]이란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 인정되는 자산가치의 비율이야.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은 담보주택의 가치로 대출한도를 정하는 방법이지. 담보주택의 가치는 대출자의 상환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돼.
대출금을 갚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을 때 담보 주택을 팔아서 대출금을 갚을 수 있기 때문이야. 담보주택의 가치가 클수록 상환능력도 높다고 볼 수 있어. 담보주택의 가격에 지정된 LTV 비율을 곱하면 대출한도를 구할 수 있어. 예를 들어 LTV가 60%고 담보주택의 가격이 10억원이라면 최대로 빌릴 수 있는 금액은 둘을 곱한 6억원이야.
정부는 LTV 비율을 올리고 내림으로써 대출규제 정도를 조정하는데 LTV 비율의 숫자를 늘리면 대출한도가 커지기 때문에 이는 대출을 활성화시키는 정책에 해당해. 반대로 LTV 비율을 낮추는 것은 대출을 조이겠다는 뜻으로 규제책에 해당하지. LTV는 부동산 경기 상황에 따라 수시로 바뀌는데, 현재 무주택자와 1주택자는 비규제지역 70%, 규제지역 50%의 LTV를 적용받아.
대출을 받아 집을 사려는 모든 개인은 대출 한도를 제한하는 정부 규제를 적용받아. 정부가 개인 대출 한도를 얼마나 제한할지 정하는 기준은 크게 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세 가지로 나뉘는데 LTV와 DTI는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정할 때 쓰이고, DSR은 대출 종류와 무관하게 모든 빚의 총량을 규제하는 장치라고 볼 수 있어.
[출처: 매일경제, 한국경제]
https://worketc.tistory.com/m/56
총부채상환비율(DTI)란?
금융부채 상환능력을 소득으로 따져서 대출한도를 정하는 계산비율을 말해. 대출상환액이 소득의 일정 비율을 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실시했어. 총부채상환비율, 즉 총소득에서 부채의 연
worketc.tistory.com
https://worketc.tistory.com/m/47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란?
Debt Service Ratio 의 약자로서 채무자의 연간 소득에서 각종 금융 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해. 주택 대출 원리금 외에 신용 대출, 학자금 대출, 장기 카드 대출 따위를 모두
worketc.tistory.com
'스터디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차권등기명령이란? (0) | 2023.07.20 |
---|---|
라이파이(Lifi)란? (0) | 2023.07.19 |
총부채상환비율(DTI)란? (0) | 2023.07.17 |
오일머니란? (0) | 2023.07.17 |
나스닥 (NASDAQ)이란? (0) | 2023.07.16 |